안녕하세요, 세이프 스쿨버스입니다!
2020년 11월 27일부터 시행되는 도로교통법 개정에 따라 동승 보호자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각 교육청에서는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어린이통학버스정보시스템(https://schoolbus.ssif.or.kr/sb/index.html)에 동승 보호자의 안전교육이수증도 함께 제출할 수 있도록 세부 항목이 변경되어 정보 재등록을 안내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도로교통법에서 명시하는 동승 보호자의 역할과 정보시스템에 동승자를 등록하는 방법 등 학원에서 앞으로 동승 보호자를 어떻게 관리하고 운영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도로교통법 제53조로 알아보는 동승 보호자의 역할과 의무


원장님께서는 동승 선생님이 탑승하는 어린이통학차량에 보호자 동승표지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좌석안전띠 착용 및 보호자 동승 확인 기록(안전운행기록)을 작성하고 보관하셔야 하는데요.
동승 선생님께서는 안전운행기록이 작성되는 만큼 우리 아이들이 차내에서 안전띠를 꼭 착용할 수 있도록 보호해야겠죠? 출발 전 안전띠 착용에 그치지 않고 운행 중에도 아이들의 안전띠가 풀어지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주셔야 합니다.
그 외에도 도로교통공단에서 교육하는 어린이통학버스 인솔교사의 역할이 있는데요.
1) 승차 시 아이들이 통학버스 주변에서 뛰지 않도록 한다.
2) 승차 전 아이들의 옷맵시를 단정하게 해주고 줄을 서서 차례대로 올라타 좌석에 안전하게 앉도록 유도한다.
3) 안전하게 승차한 후 차량 문을 닫고 안전띠 착용하는 것을 도와준 뒤 착용이 완료되면 운전자에게 출발하도록 알린다.
4) 마주 보기 탑승은 가급적 하지 않으며, 반드시 아이들이 안전띠를 착용하고 있도록 한다.
5) 차창 밖으로 얼굴, 손, 물건 등을 내밀거나 장난을 치지 않도록 한다.
6) 잠깐이라도 자리를 비울 땐 아이가 혼자 통학버스에 있지 않도록 하며, 운행이 끝난 후엔 차 안 맨 뒷좌석까지 꼭 확인한다.
7) 하차 시 차가 완전히 정차한 후 차문이 열리면 오토바이나 자전거가 오는지 뒤쪽을 살피고 인솔교사가 먼저 내린다.
8) 부모에게 아이를 인계한 후 아이가 안전한 장소에 도착한 것을 반드시 확인하고 나서 운전자에게 알리고 서서히 출발한다.
단순해 보여도 꼭 필요한 동승자의 역할!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꼭 지켜져야겠죠?
어린이통학버스 동승 보호자 안전교육 의무

도로교통법 제53조의3(어린이통학버스 운영자 등에 대한 안전교육)에 동승 보호자의 안전교육이 의무화 되었습니다. 이 조항은 올해 5월 26일날 제정되어 11월 27일부터 시행되는데요. 이미 8월 말부터 교육청에선 관련 내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여전히 오프라인 안전교육이 어려운 상황 가운데 온라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통합민원 사이트에서 예약 정보를 입력할 때 구분에 ‘동승자’를 체크하고 예약을 완료한 뒤 이러닝센터에서 교육을 이수하고, 2~3일 뒤에 다시 통합민원 사이트로 가서 안전교육확인증을 발급 받는 과정입니다.
어린이통학버스 온라인 안전교육을 받는 방법은 지난 블로그 포스트를 통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꼭 참고해주세요.
세이프 스쿨버스가 알려드리는 도로교통공단 어린이통학버스 안전교육
온라인 이수 방법과 안전교육확인증 출력 방법
https://blog.naver.com/safeschoolbus/221846645849
위 과정을 거쳐 동승 선생님이 안전교육을 이수하고 원장님께 안전교육확인증까지 드렸다면 이제 마지막으로 어린이통학버스 정보시스템에 동승자의 정보를 입력하러 가야겠죠?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어린이통학버스 정보시스템 동승자 정보 입력 방법

통학버스 정보시스템(https://schoolbus.ssif.or.kr/sb/index.html)에 들어가셔서 통학버스 정보등록/수정을 누르시면 해당 학원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조회하고 기존에 등록하신 원은 정보 수정으로, 신규 학원은 정보 등록 화면으로 넘어가는데요.
이 때 등록화면의 가장 아래에 교육정보(동승자) 항목이 추가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차량정보리스트에서 차량 등록을 하셔야 등록하신 차량에 대한 운전자와 동승자 정보 입력이 가능한데요. 동승자 정보 입력 화면으로 넘어가면 동승자의 성명, 교육 수료 여부, 교육이수번호, 교육 구분, 운영방법, 고용형태를 선택하게 됩니다.

동승 선생님께 받은 안전교육확인증을 참고해서 위 정보를 하나씩 입력하시면 되는데요. 동승자 교육 여부를 ‘수료’로 선택한 뒤 안전교육확인증 동승자용 좌측 상단에 나와 있는 교육이수번호를 화면에 작성합니다.

교육이수번호를 입력한 후 돋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이수번호에 따른 교육구분, 교육수료일자, 교육기관이 자동 생성되는데요!
다음으로 운영방법은 해당 동승 선생님이 현재 등록하는 한 대의 차량에만 탑승하신다면 “고정”, 다른 차에도 돌아가면서 탑승하신다면 “순환”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마지막 동승자 고용 형태를 선택하시고, “저장”을 누르시면 동승자 등록이 완료됩니다.
이렇게 열심히 작성하신 내용은 기관정보의 “승인요청”까지 눌러야 확실히 등록이 끝난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
동승자의 역할이 강화되는 만큼 우리 아이들이 보다 안전하게 통학차량을 이용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감도 커지는데요.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지키는 효과적인 법이 제정되고 그만큼 안전이 보장되는 사회가 되기를 스쿨버스가 응원하고 기대합니다.
스쿨버스는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지키며 오늘도 안전 운전 하겠습니다!